분류 전체보기 226

마르크스 철학 쉽게

공유사회로 이루어지는 마르크스의 염원 ​ 자본주의:보편적 매춘의 시대 저도 마르크스가 말한 ‘자본주의는 보편적 매춘의 시대’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왜냐하면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스스로 매춘부가 된 것같은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돈을 위해 사창가에서 억지로 웃는 매춘부와, 돈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며 억지로 웃는 저와 다른점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마르크스의 소외론과 일맥상통합니다. ​ 극복:공산주의 마르크스의 소외론은 노동이 단지 돈을 위한 수단으로 되어버려 느끼게 되는 소외를 말합니다. 그래서 그는 이와 자본주의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산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 공산주의의 실패 그는 공산주의는 확립되어야 할 사태나 이상이 아닌 실체적 운동이라고 하였지만, 200년이 지난 이후까지도 ..

비트겐슈타인 철학

맹목적으로 따라야 할 언어놀이 ​ 쓰임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 비트겐슈타인은 “한 낱말의 의미는 언어에서 그것의 쓰임에 있다”고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착하다”라는 언어는 “타인에게 배려를 잘 한다”라는 좋은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남에게 잘 속아 넘어간다”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습니다. 고로 언어의 쓰임에 주목하여 각 상황에 맞는 언어 규칙을 사용해야 합니다. ​ 다른 공동체 간의 언어놀이 충돌- SNS에서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집니다. ‘존나’와 같은 단어는 ‘좆’이라는 남성의 성기를 비하하는 어원에서 출발하였지만, 현대에서는 단순히 강조를 위한 언어로 쓰입니다. 이 단어는 친구들 사이에서는 아무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이를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시 탐탁치 않은 시선을 보내곤 합니다. 그래서 가..

성선설과 성악설

왜 아직도 인류의 60%는 굶주리는가? ​ 성선설보다 성악설을 지지하는 이유 인간은 ‘선’하기 보다 ‘악’하게 보입니다. 왜냐하면 아우슈비츠, 위안부, 광주 5.18, 제주 4.3 등 학살 이름만 적어도 A4용지를 가득 채울수 있습니다 . 그래서 이런 사건을 볼 때 순자가 ‘인간의 본성이 악이다 고로 선해지기 위해서 인위를 해야 한다’며 주장한 것을 동의할 수 있습니다. ​ 순자가 살았던 환경 그런데 한가지 생각해야 되는 것이 있습니다. 순자가 살았던 시대는 저희의 시대와 다릅니다. 순자가 살았던 춘추 전국 시대는 500년간 전쟁이 끝나지 않아 모든 재화가 부족한 시대였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굶어 죽는 사람이 넘쳐 났을 것입니다. 그런데 저희 시대는 어떠하지요? ​ 저희가 사는 환경 현재는 물질의 풍요가..

대학생 필수 공모전 - 매일 업데이트

참여 추천: 컴공 3학년 이상 https://dataonair.or.kr/bigjob/ 빅데이터 청년인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빅데이터 청년인재 양성 교육(데이터 청년 캠퍼스) dataonair.or.kr 4년제 대학교 재휴학생: https://blog.naver.com/youngdisplay LG디스플레이 대학생 인플루언서_디플 : 네이버 블로그 LG디스플레이 대학생 인플루언서 디플이 운영하는 블로그입니다 :) blog.naver.com 대구시민: https://naver.me/xvEeH5iv 대구시민 좋은 예산감시 시민기자단 모집 시민기자가 만들어가는 청렴한 대구! 좋은 예감 시민기자단이란? 대구광역시 청렴 문화 조성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예산에 대하여 시민이 직접 감시하고, 취재 및 기사를..

불교 관련 독후감

실패했지만 옳은 불교 옳지만 실패한 불교 불교가 제시한 길은 ‘옳지만 실패한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불교는 고통과 해탈에 이르는 최선의 길을 알려 주었습니다만, 동시에 너무나 따라 하기 힘들다는 오점을 가집니다. 옳은 점:해탈에 이르는 최선의 방법 물론 25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고통과 해탈에 관하여 불교가 제시한 이론보다 더 나은 이론이 없습니다. 우리가 쾌락, 명예와 인정에 집착하며 경쟁 속에서 우울증과 무력감을 느낄 때, 불교가 제시한 ‘8 정도를 따라 괴로움을 극복’하는 것보다 나은 방법은 없을 것입니다. 실패 이유: 너무나도 어려운 그런데 불교의 방법을 따라 해탈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평생을 수행해도 해탈하는 사람보다 하지 못하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불교가 제시한 방법이 ‘옳은..

호모데우스 독후감

흔들리는 인간의 존엄성 ​ 인간의 존엄성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요? 인간보다 더 뛰어난 존재가 나오면 인간의 존엄성은 어떻게 될까요? 예수님은 여섯 항아리의 물을 포도주로 바꾸었고, 떡 5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5000명을 배부르게 하고 문둥 병자 10명을, 귀먹은 자를 치료하셨습니다. 대단한 일이지만, 1년에 이탈리아에서 48.500 헥토리터의 포도주를 생산하고, 한 달 알바로 5000명 정도는 배부르게 할 수 있습니다. 리팜핀 600mg를 복용하면 나균의 99.99%는 전염력을 상실하며, 청각 장애를 가졌더라도 인공와우로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인간은 예수님을 넘어섰습니다. ​ 예수님을 넘어섰다 할지라도, 인간은 만족할 줄 모릅니다. 인간은 더 완벽한 신이 되기를 원합니다. 다음 목표는 인공지능..

철학적 인간학 기말과제 _ 공유사회로 이루어지는 마르크스의 염원

공유사회로 이루어지는 마르크스의 염원 실패한 공산주의 소외론을 주제로 선정한 이유: ‘자본주의는 보편적 매춘의 시대’라는 마르크스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스스로 매춘부가 된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생활비를 위해 억지 웃음을 파는 매춘부와, 아르바이트를 하며 억지로 웃는 나 자신 사이에 다른 점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것이 ‘노동은 단지 돈을 위한 수단’이란 마르크스의 소외론에 동의하는 이유입니다. 공산주의의 실패: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에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서, 체제가 공산주의로 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는 확립되어야 할 사태나 이상이 아닌 실체적 운동이라고 하였지만, 100년이 지난 이후까지도 공산주의 사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날 마르크스주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