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사회로 이루어지는 마르크스의 염원 자본주의:보편적 매춘의 시대 저도 마르크스가 말한 ‘자본주의는 보편적 매춘의 시대’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왜냐하면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스스로 매춘부가 된 것같은 느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돈을 위해 사창가에서 억지로 웃는 매춘부와, 돈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며 억지로 웃는 저와 다른점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마르크스의 소외론과 일맥상통합니다. 극복:공산주의 마르크스의 소외론은 노동이 단지 돈을 위한 수단으로 되어버려 느끼게 되는 소외를 말합니다. 그래서 그는 이와 자본주의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산주의를 주장하였습니다. 공산주의의 실패 그는 공산주의는 확립되어야 할 사태나 이상이 아닌 실체적 운동이라고 하였지만, 200년이 지난 이후까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