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및 글짓기

‘블랙스완’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승화의 관점으로 분석

치킨먹고싶어요 2022. 5. 30. 14:55

‘블랙스완’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승화의 관점으로 분석

니나의 초자아, 영화 스틸 컷

초자아를 가진 주인공:

 

‘블랙스완’의 주인공 ‘니나’는 미혼모의 가정에서 자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지 못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어머니는 니나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자신이 이루진 못한 발레리나라는 꿈을 강요하는 사람입니다. 어머니가 이미 성인이 된 니나에게 ‘착한 아이’라고 부른 모습, 먹기 싫은 케이크도 억지로 먹던 니나의 얼굴이 기억납니다. 이런 어머니는 ‘니나’의 강력한 초자아가 됩니다.

 

그러나 프로이트가 ‘방어 신경증에 대한 또 다른 고찰’에서 말한 것처럼 ‘억압된 것의 회귀’는 막을 수 없을 것입니다. 살다 보면 초자아가 아무리 억압해도 욕망은 튀어나오니까요. 

 

 

니나의 욕망, 영화 스틸컷

초자아를 이긴 욕망:

 

그녀는 나이가 많고 남성미가 있는, 단장을 욕망하게 되었습니다. 가정에서 아버지 없이 자라난 소녀가 아버지 같은 남성에 대해 이끌리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게다가 우리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겪을 때 어머니에게 ‘근친상간의 욕망’을 느끼더라도 보통의 어머니라면 성관계를 해 줄리가 없지만, 단장은 먼저 유혹하고자 신을 이끌어주고게다가 성에 몸을 던지라고 하는 아버지입니다. 아마 그녀의 최초로 느낀 초자아의 억압보다 큰 욕망일 것입니다. 

 

 

초자아의 억압:

 

그러나 그녀의 초자아는 매우 강력합니다. 단장과 키스를 함으로써 프리마돈나의 자리를 얻어냈다고 생각한 니나는 망상 속에서 자신의 거울 속에 ‘창녀’를 적었습니다. 그녀는 강제로 당한 키스라서 단장의 입술을 물어버려 거절했는데도, 자신을 창녀라고 여길정도입니다. 이러한 초자아와 욕망 사이의 대결은 영화의 주된 내용이 됩니다.  

 

 

릴리, 영화 스틸 컷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어머니의 등장:

 

어찌 되었든 그녀는 프리마돈나에 최선을 다하려 합니다. 아버지가 요구하는 것은 ‘백조와 흑조를 동시에 연기하는 것’이니까요. 그러나 완벽한 백조만 연기할 수 있는 니나는, 단장으로부터 그녀의 흑조 연기는 볼품없다고 지적받습니다. 이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안에서 자신과 아버지를 두고 경쟁해야 할 어머니가 등장합니다. 굉장히 매력적이고 섹시한 동료, 릴리는 백조와 호수에서 언제든지 왕자를 유혹할 수 있는 완벽한 흑조입니다. 심지어 단장이 니나를 릴리와 비교를 하며, 릴리의 자유로움을 칭찬하고, 자신에게는 ‘성관계하고 싶지 않다’까지 말할 뿐만 아니라 릴리에게 흑조 연기도 한번 해보라고 합니다. 이러자 점점 니나는 릴리가 단장을 뺏을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게다가 망상 속에서 릴리가 흑조 역을 뺏기 위해 단장과 성관계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이디푸스의 극복의 실패:

 

여기서 실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면 ‘릴리’는 강력한 힘을 가진 부모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거세 콤플렉스를 느껴서 ‘근친상간의 욕망’을 포기할 것이지만, 릴리는 강력한 힘이 없고 니나 또한 많이 성장하여서 거세 콤플렉스를 느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에 대한 욕망을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초자아를 이긴 릴리, 영화 스틸 컷

초자아를 이긴 릴리:

 

그런데 망상과 달리 실제 릴리는 매우 착하고 친화적인 사람입니다. 니나와 릴리 사이의 작은 오해가 있었는데 릴리는 먼저 사과하고 클럽에 가자고 합니다. 니나는 어머니의 명령과 전화를 무시하고 클럽에 갔다가 새벽에 집에 들어온 것을 타박하는 어머니에게 ‘And I fucked them both, Don’t come in here, I’m not 12 anymore’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머니라는 초자아의 지배는 끝났습니다. 사실 억압된 욕망에서 풀려난 것은 초자아의 지배가 약해진 것을 의미하니 당연한 귀결이었습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극복의 실패 신경증:

하지만 내내 부정적으로 묘사되던 초자아는 니나의 브레이크였는지도 모릅니다. 니나의 정신분열증은 이후 점점 심해집니다. 완벽한 백조를 연기해서 니나가 존경했던 인물을 칼로 찌릅니다. 걱정하는 어머니의 손을 부러뜨립니다. 그리고 마치 흑조처럼 눈이 충혈되고 검은 깃털이 나고 다리가 변하자 니나는 기절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건 초자아의 억압이 깨지자, 백조로서 존경한 인물을 죽이려 하고, 백조의 초자아를 부쉈습니다. 더 이상 니나는 과거의 니나가 아닙니다. 스프링이 튀어 오르듯, 니나의 억압되어 왔던 욕망은 브레이크 없이 질주합니다.

 

흑조, 블랙 스완 영화 포스터

 

전체적인 주제 - 승화:

 

그리고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으로 갑니다. 니나는 백조의 역할을 하다가 큰 실수를 합니다. 니나가 울상으로 돌아왔는데, 드레스 룸에서 릴리로 표현되는 또 다른 자아가 ‘내가 흑조 역을 할 것이다’고 하자 니나는 그것을 죽여버립니다. 이후 무대에 오른 니나는 완벽한 흑조를 연기하며 박수갈채를 받습니다.

 

여기서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왜 그토록 완벽한 백 조역에서 실수를 했을까요? 게다가 흑조인 자아를 죽였는데 어떻게 완벽한 흑조를 연기했을까요? 왜냐하면 니나가 죽인 것은 백조였기 때문입니다. 니나의 백조처럼 흰색 옷에서 나오는 피를 보면 백조가 흑조를 죽인 것이 아니라 흑조가 백조를 죽인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니나는 완벽한 ‘블랙스완’을 연기하고, 배에서 피가 번지며 마지막 대사로 ‘Perfect. I was perfect’라고 하며 영화는 끝납니다.

 

전체 영화의 주제는 승화입니다. 이드(id)로 대표되는 욕망과 어머니라는 초자아의 대결에서, 아버지에 대한 성적 욕구를 ‘완벽함’에 투사하여 승화로 이루어낸 것입니다. 그러나 승화가 항상 자신에게 좋은 쪽으로 가지는 않습니다. 결국에는 자살과 비슷하게 마무리되었으니까요.

 

 

i was perfect, 영화 스틸 컷

그래도 니나는 승화로 자신의 욕망을 찾아갔습니다. 라캉이 ‘자신이 욕망하는 것이 진실로 자신이 소망하는 것인지 알기 위해서 주체는 다시 태어날 수 있어야 한다’라고 한 것처럼, 어머니가 원하는 것만 하던 아이가 아버지를 욕망하며 자신을 변형시키고 ‘어머니의 못다 한 꿈’이 아닌 ‘자신의 완벽함’을 추구하였으니까요. 공연을 바라보는 불안해하는 엄마와 달리 마지막 웃음을 짓는 니나의 ‘Perfect. I was perfect’라는 대사에서 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