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 김준석입니다. 😊
여러분, 혹시 이런 생각해 본 적 없으신가요?
“우리 동네 이 골목은 너무 어두운데, 가로등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
“학교 앞에 횡단보도가 너무 멀어서 위험해.”
“공원에 운동기구 말고 청년들을 위한 쉼터가 있으면 어떨까?”
이런 멋진 생각들, 그냥 스쳐 지나가게 두기엔 너무 아깝지 않나요? 만약 우리의 아이디어가 실제 대구시 정책이 되고, 우리가 낸 세금으로 실현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에이, 그런 게 가능해?’ 라고 생각하셨다면 주목! 오늘은 시민이 대구의 주인이 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해 A부터 Z까지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 주민참여예산제, 그게 대체 뭔가요?
어렵게 생각할 것 없어요! 말 그대로 ‘주민’이 시 예산 편성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입니다.
마치 우리 집 살림살이를 가족회의를 통해 결정하듯, 대구시라는 큰 집의 살림(예산)을 시민들이 함께 모여 “이 돈은 여기에 쓰는 게 좋겠어요!”라고 의견을 내고 결정하는 거죠.
이 제도는 1989년 브라질의 한 도시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대구시에서도 시민들의 목소리를 시정에 적극 반영하기 위해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답니다. 우리의 세금이 엉뚱한 곳에 낭비되지 않고, 꼭 필요한 곳에 투명하게 쓰이도록 만드는 아주 중요한 제도예요!
🙋♀️ 그래서, 우리가 뭘 할 수 있죠? (참여 방법 3단계)
“좋은 제도인 건 알겠는데… 어떻게 참여하는 거죠?”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참여 방법은 생각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STEP 1. 아이디어 제안하기 (가장 중요! ⭐)
내 머릿속 아이디어를 세상 밖으로 꺼내는 첫 단계입니다.
언제? 보통 매년 2~3월경에 집중적으로 공모를 받아요.
어떻게? ‘대구시 주민참여예산’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제안할 수 있어요!
- (예시) “청년들을 위한 마음 건강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세요!”
- (예시) “자전거 도로에 파손된 곳이 많으니 보수해주세요!”
- (예시) “반려동물과 함께 쉴 수 있는 펫파크를 조성해주세요!”
거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생활 속 작은 불편을 개선할 아이디어면 무엇이든 좋습니다!
STEP 2. 마음에 드는 사업에 투표하기 🗳️
“딱히 아이디어는 없는데…” 하시는 분들도 괜찮아요! 다른 시민들이 낸 좋은 아이디어에 힘을 보태줄 수 있습니다.
제안된 사업들은 전문가 검토와 위원회 심사를 거쳐 후보로 올라오는데요. 7~9월경에 이 후보 사업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주민투표를 진행합니다. 내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업에 ‘좋아요’를 누르는 것처럼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면 끝! 이 투표 결과가 최종 사업 선정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답니다.
STEP 3. 배우고 성장하기 (예산 아카데미)
“이왕 하는 거, 좀 더 전문적으로 참여하고 싶어!” 하는 열정 넘치는 분들을 위해 **‘예산 아카데미’**라는 무료 교육 과정도 열립니다. 시 예산이 어떻게 짜이는지, 좋은 사업 제안서는 어떻게 쓰는지 등을 배울 수 있는 절호의 기회죠. 스펙 한 줄은 덤!
💰 규모가 어느 정도냐고요? 무려 140억!
놀라지 마세요! 2025년 대구시 주민참여예산 총규모는 무려 약 140억 원에 달합니다. 이 어마어마한 예산이 시 전체에 필요한 사업, 각 구/군에 필요한 사업, 우리 동네(읍/면/동)에 필요한 사업으로 나뉘어 우리의 제안을 기다리고 있어요.
특히 저 같은 청년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청년 분과위원회’를 따로 운영하며 청년들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있다는 사실!
우리의 관심이 대구를 바꿉니다
주민참여예산제는 그냥 ‘참여’에 의의를 두는 행사가 아닙니다. 우리의 관심과 아이디어가 모여 실제로 가로등이 설치되고, 공원이 바뀌고, 새로운 프로그램이 생겨나는 ‘진짜 변화’를 만드는 힘입니다.
더 이상 ‘정치는 어려운 것’, ‘예산은 나와 상관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마세요.
지금 바로 ‘대구시 주민참여예산’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세요.
우리가 살아갈 대구의 모습을 우리 손으로 직접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멋진 아이디어를 기다릴게요! ✨
- 대구시 주민참여예산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jumin.daegu.go.kr/
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 김준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