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이자, 수성구청 청년행복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준석입니다. 😊
여러분, 혹시 ‘수성구’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교육도시’, ‘살기 좋은 동네’… 아마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실 텐데요. 여기에 한 가지 더! 수성구가 ‘청년이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저는 ‘청년행복위원회’ 위원으로서 아주 기분 좋은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바로 ‘2025년 수성구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하는 자리였는데요. 이 자리에서 무려 총 60억 원의 예산이 우리 청년들을 위해 쓰인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고 왔습니다!
‘세금은 대체 어디에 쓰이는 걸까?’ 궁금했던 분들 많으시죠? 오늘 제가 청년 위원의 시선으로, 이 60억 원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책들을 쏙쏙 뽑아 알려드릴게요!
✅ 팩트체크: 수성구, 청년에게 진심이다!
먼저 숫자부터 살펴볼까요?
- 총예산: 60억 원
- 사업 분야: 일자리·창업, 주거·복지, 교육, 문화·예술, 참여·권리 (5대 분야)
- 사업 개수: 32개 (작년보다 8개나 늘었어요!)
어려운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예산을 5억 넘게 늘리고, 새로운 사업을 8개나 만들었다는 건, 그만큼 수성구가 청년 유출을 막고, 우리가 지역에서 꿈을 펼치길 바란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위원회에서 직접 느낀 분위기도 정말 뜨거웠답니다!
🙋♂️ 그래서, 나한테 좋은 게 뭔데? (핵심 정책 TOP 3)
32개나 되는 사업을 다 설명하긴 어려우니, 우리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에게 가장 와닿을 만한 정책 세 가지를 골라봤습니다.
1. 💼 “나도 사장님!” 꿈을 현실로, <1인 창조기업 육성사업>
‘나만의 아이템으로 창업해볼까?’ 한 번쯤 상상해보셨죠? 하지만 사무실 구하기도, 초기 자금도 막막하기만 한데요. 수성구가 여러분의 든든한 첫 파트너가 되어줍니다!
- 뭘 지원해?
이제 아이디어만 있다면 빈손으로 시작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죠. ‘할로마켓’처럼 청년과 시니어가 함께하는 창업 모델도 있다고 하니,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2. 🌱 “잠깐 쉬어가도 괜찮아”, <청년도전 지원사업>
졸업은 다가오는데 막막한 분, 계속되는 취업 준비에 지친 분, 잠시 ‘쉼’이 필요한 청년이라면 이 사업을 꼭 기억해주세요. 단순히 돈을 주는 걸 넘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마음 근력’을 키워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뭘 지원해?
혼자 끙끙 앓지 마세요. 수성구가 여러분의 도전을 기다리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운영기관: 수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문의: ☎666-4322)
3. 청년 마음 상담소
혼자 끙끙 앓지 마세요! 과제, 취업, 인간관계로 지친 마음을 털어놓고 '나'를 돌볼 수 있는 안전하고 따뜻한 공간이에요.
- 💬 1:1 맞춤 상담: 전문가 선생님과 편안하게, 오롯이 내 이야기에 집중할 수 있어요.
- 🔒 100% 비밀 보장: 어떤 이야기든 안심하고 털어놓아도 괜찮아요.
- ✨ 마음의 치유와 행복: 잠시 쉬어가며 불안을 덜고, 다시 나아갈 힘을 얻어요.
몸이 아플 때 병원에 가듯, 마음의 감기도 전문가와 함께 치료하세요! 수성구가 당신을 응원합니다.
여러분의 목소리가 정책이 됩니다
제가 청년행복위원으로 활동하며 가장 크게 느끼는 것은 우리의 목소리가 정말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60억 원 규모의 청년정책도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작년, 재작년 청년들의 의견과 제안이 쌓여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수성구에는 이 외에도 청년 마음 지원사업, 청년성장 프로젝트, 들안예술마을 청년공방 등 여러분을 위한 다채로운 정책들이 가득합니다.
망설이지 마세요! 수성구청 홈페이지 ‘청년 지원사업’ 페이지를 즐겨찾기 해두고, 수성구 청년센터를 내 집처럼 드나들어 보세요. 여러분의 참여가 수성구를, 나아가 대한민국의 지방시대를 더욱 빛나게 할 거라 확신합니다.
여러분의 빛나는 도전을 응원합니다! ✨
수성구 청년행복위원이자 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 김준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