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방시대 서포터즈] AI개발로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한 김준석이 알려주는 대구시 공공데이터 활용법!

치킨먹고싶어요 2025. 7. 2. 12:10

안녕하세요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로 활동하고 있는 김준석입니다. 😊

저는 얼마 전, AI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운 좋게도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는데요. 제가 AI 모델을 만들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무기는 바로공공데이터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데이터' 'AI'라고 하면 어렵고 막막하게 느끼시더라고요. 하지만 우리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보물지도'가 바로 우리가 사는 대구시의 공공데이터 안에 숨어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제가 직접 경험하고 부딪히며 알게 된대구시 공공데이터 활용 꿀팁을 여러분께 아낌없이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저를 따라오시면, 여러분도데이터라는 강력한 무기를 손에 쥘 수 있을 거예요!


STEP 1. 보물 창고의 문을 열자! 'D-Data Hub' 접속하기

가장 먼저, 대구시의 데이터가 모두 모여있는 보물 창고의 위치를 알아야겠죠? 바로대구시 공공데이터 포털(D-Data Hub)’입니다.

이곳은 대구시와 관련된 교통, 환경, 안전, 문화, 복지 등 거의 모든 분야의 데이터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곳입니다. 마치 거대한 온라인 도서관 같다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 잠깐! 어떤 데이터가 있을까?

  • 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 지하철 이용 현황
  •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대기오염 정보
  • CCTV 및 보안등 설치 현황
  • 공공도서관, 체육시설, 주차장 위치 및 정보
  • 축제 및 행사 정보, 문화재 현황

이 외에도 상상 이상으로 방대하고 재미있는 데이터가 정말 많답니다!


출처: Pixabay

STEP 2. 나만의 보물을 찾아라! 데이터 탐색 및 다운로드

D-Data Hub에 접속했다면, 이제 나만의 보물(데이터)을 찾아볼 차례입니다.

1. 키워드로 검색하기 💡
포털 메인 화면의 검색창에 궁금한 주제의 키워드를 입력해보세요. 예를 들어카페’, ‘주차장’, ‘도서관처럼요. 관련 데이터 목록이 쭉 나타날 거예요.

2. 카테고리별로 탐색하기 📂
어떤 데이터를 봐야 할지 막막하다면, 분야별 카테고리를 둘러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교통물류’, ‘문화관광’, ‘보건의료등 잘 정리된 카테고리를 구경하다 보면? 이런 데이터로 이런 걸 해볼 수 있겠는데?” 하는 영감이 떠오를 수 있습니다.

출처: Pixabay

3. 파일(File) vs API, 뭐가 다를까? 🤔
데이터를 보다 보면파일 ‘API’ 두 가지 형태가 보일 거예요.

  • 파일 (CSV, EXCEL ): 초보자에게 추천! 엑셀 프로그램으로 바로 열어볼 수 있는 데이터 묶음입니다.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간단한 차트를 만들 때 유용해요.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필요한 앱이나 웹 서비스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실시간 버스 도착 정보 앱 API를 활용하는 거죠. 조금 더 전문적이지만, 그만큼 활용도가 무궁무진합니다!

일단은 관심 있는 데이터의 CSV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엑셀로 열어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STEP 3. 데이터를 내 것으로!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 이제 데이터를 손에 넣었습니다. 이 숫자와 텍스트 덩어리를 어떻게 의미 있는 결과물로 만들 수 있을까요? 제가 AI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몇 가지 아이디어를 드릴게요.

[아이디어 예시 1] 🗺️ 우리 동네 안심 지도 만들기

  • 활용 데이터: CCTV 설치 현황, 보안등 설치 현황, 경찰서 위치 데이터
  • 방법: 각 데이터의 위치(위도, 경도) 정보를 지도 위에 시각화합니다. CCTV나 보안등이 부족한안전 사각지대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개선을 제안해볼 수 있겠죠?

[아이디어 예시 2] 📚 대학생을 위한 최고의 스터디 카페 추천 서비스

  • 활용 데이터: 대구시 카페 인허가 정보, 도서관 정보, 버스 정류장 위치 데이터
  • 방법: 대학교 주변의 카페와 도서관 위치를 분석하고, 대중교통 접근성을 점수로 매겨나만의 스터디 명소 리스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와이파이 유무, 콘센트 개수 같은 정보를 크롤링해서 더하면 완벽한 서비스가 탄생할 거예요!

[아이디어 예시 3] 😷 (AI 활용) 동네별 맞춤 미세먼지 예측 알림

  • 활용 데이터: 과거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 기상 데이터, 교통량 데이터
  • 방법: (조금 더 심화 과정이지만)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시켜 특정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제가 대한민국 인재상을 받을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런데이터 기반의 문제 해결과정 덕분이었습니다.

출처: Pixabay

데이터는 세상을 바꾸는 힘, 주인공은 바로 당신입니다!

제가 AI 개발자로서, 그리고 지방시대 서포터즈로서 느끼는 점은 하나입니다우리가 사는 지역의 미래는 우리 손으로 만들어갈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대구시 공공데이터는 그 미래를 만드는 가장 훌륭한 재료입니다.

거창한 AI 개발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엑셀로 우리 동네 데이터를 정리해보는 작은 호기심, 불편함을 해결하려는 작은 시도. 그 모든 것이 대구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위대한 첫걸음입니다.

두려워하지 마세요. 지금 바로 D-Data Hub에 접속해서 여러분만의 보물찾기를 시작해보세요! 여러분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대구의 내일을, 대한민국의 지방시대를 빛낼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

지방시대 대학생 서포터즈 김준석 드림.